비만 시장에 대해서 기업을 검색하다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이름이 아마도
GLP-1 이라는 이름일 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왜 그렇게 GLP-1 수용체에 집중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고자 하는 목적의 포스팅입니다.
비만 치료는 식욕을 억제하거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대사 촉진등의 기전을 건드려서 체중 감량을 유도합니다.
최근 GLP-1이라는 약물이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혁신적인 효과를 선보이고 있으며,
그로인해 많은 제약 회사들이 GLP-1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GLP-1 약물은 원래 비만 치료제고 개발되던 약물이 아닙니다.
GLP-1은 제2형 당료 치료제로 개발 되었으나,
체중 감량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고
비만 치료제로 전환, 개발 되고 있습니다.
GLP-1은 인크레틴 호르몬입니다.
인크레틴 호르몬인란
우리가 밥을 먹으면 장에서 혈당과 식욕을 조절해주는
호르몬입니다.
GLP-1에 작용하는 수용체 작용제는
이 인크레틴호르몬을 강화하거나 모방하여
체중과 혈당을 조절해주는 효과를 목적으로 합니다.
1) 식욕억제
-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식욕" 감소
- 포만감을 증폭시켜 음식을 적게 먹도록 유도
- 장기적인 사용시에는 식습관이 개선 될 수 있습니다.
2) 위 배출 속도의 감소
- 위장의 음식 배출 속도를 지연 시켜서 포만감을 오래 유지
3) 인슐린 분비 증가와 혈당조절
- 췌장 베타세포 활성화를 통해서 인슐린 분비 촉진
- 당의 흡수를 억제해서 혈당의 상승을 방지 합니다.
4) 글루카곤 억제
- 글루카곤을 억제하여 혈당 조절 유지
(인슐린- 글루카곤의 상관관계는 아래 사진)
이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지방의 생성을 감소 할 수 있습니다.
GLP-1 기반 치료제는
단독 GLP-1 작용제와 다중 작용제로 구분이 됩니다.
1) 세마글루타이드(노보노디스크)
- 오젬픽, 위고비
- 주사 방식 (주 1회)
- 2021 FDA 승인 완료
- 확인된 부작용 : 구토, 복부팽만, 저혈당 증상
2) 레트라글루타이드( 노보노디스크)
- 삭센다
- 1일1회주사
- 2014FDA 승인 완료
- 확인된 부작용 : 구토, 피로함
효과가 미미함
1) 티르제파타이드(일라이릴리)
GLP-1 + GIP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이중 작용제
- 몬자로, 젭바운드
- 주 1회 주사
- 2023 FDA 승인 완료
- 확인된 부작용 : 변비, 저혈당 증상
2)레타트루타이드(일라이릴리)
GLP-1 + GIP + 글루카곤 수용체 3중 작용제
- 주 1회 주사
- 2상 테스트 통과, 3상 테스트 진행중
- 확인된 부작용 : 소화불량, 구토등
3) AMG133 (암젠)
GLP-1 + GIP 이중 작용제
- 월1회주사
- 임상 1 통과, 임상 2 진행중
많은 제약 회사들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 개발중
부작용의 감소와 높은 효과 개선
보험 인증 정책등을 통해서 대중화 가속화 예상
비만 치료제는 다양한 치료제 전부
체중 감소에만 효과를 보이지 않습니다.
당뇨, 간질환등 체중이 높아지면 생기는 많은
성인병들에 효과를 같이 나타내고 있습니다.
때문에 비만 치료제 시장은 단순한 다이어트 시장의
관점보다 더 넓은 시장으로 봐야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만 알아보았습니다.
너무 깊이 들어가면 내용이 엄~~청 길어집니다.ㅠㅠ
그 내용들은 비만 치료제 기업 하나씩 얘기하면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부족한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 유전자 가위? 이론적 내용은 알아보고 넘어가자 (4) | 2025.02.28 |
---|---|
미국의 탄소중립 탈퇴, 그래도 환경을 위한 ESG 경영의 중요성 (0) | 2025.02.26 |
팔란티어 AIP - 개인에게도 침투되고 있는 솔루션 플랫폼 (2) | 2025.02.22 |
기업 주요 현황 1) 레드캣 홀딩스, 크라토스 디펜스 (4) | 2025.02.20 |
테슬라 - 레이달리오와 캐시우드의 조합 그리고 테슬라가 그리는 미래 (1)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