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멘탈트레이닝

주린이 주식 공부하기 - 주식투자 지표 가볍게 보고 가기 (고평가, 저평가?)

함께하는 주식 멘탈 강화 프로젝트 2025. 3. 11. 16:59

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뉴스를 듣고 투자 증권사 채팅등을 보고 있으면

이런 말들은 정말 많이 보게 됩니다.

 

이 기업의 현재 주가는 고평가다, 저평가다

(아래에 제시된 사진들은 설명과 관련성이 있는

예전 자료들입니다.)

 

고평가, 저평가

그렇다면 무엇으로 고평가와 저평가를 얘기하는건지

내용을 알아야 상황에 따라 신경을 써야 할지

쓰지 않아도 될지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의 정도는 알고 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PER

알기 위해서는 몇가지 용어는 눈에 익혀 두어야 합니다.

 

우선, PER

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 수익 비율 이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1주당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가

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PER이 낮을수록 가치가 낮게 설정되고 있다

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PER을 볼 때 고려해야 할 점은 

상대적인 평가로 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세부적인 분류일수록 정확합니다

 

예를들어

IT섹터내의 반도체 섹터내의 

AI기술 섹터 내에서 AI 소프트웨어 섹터 안의

AI보안 솔루션 소프트웨어 섹터의 기업끼리

PER 비교를 한다면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또 한 가지 주의할 점은 

PER이 높다고 투자를 피해야 할 기업이다?

그건 아닐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습니다.

 

성장주일 경우 PER이 높을 때가 많습니다.

성장주는 이익 창출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래 가치와 잠재 기대 가치가 같이

주가에 포함 되기 때문에 이미 시장에서

고착된 기업들에 비하여 PER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PER과 같이 

EPS지표도 같이 봐야 할 지표입니다.

EPS지표의 개선은 수익성의 개선입니다.

 

이런 고성장주 고PER 회사에 투자할 때는

이제, 투자자 들 개인 마다의 판단력과

다양한 소양들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PBR

PBR은 Price to Book Ratio
기업의 순자산 대비 하여 주가 수준을 보여줍니다.

개인적으로는 사실 투자시에 잘 보지 않는 지표입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PBR<1 이면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보다 낮아

저평가 가능성이 있고

PBR>1 미래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상태 입니다


계산 예시:

B기업의 주가가 50,000원이고, BPS(주당 순자산)가 40,000원이라면,

PBR=50,000÷40,000=1.25

즉, 이 기업의 주가는 순자산보다 25%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자산의 크기가 성장 가능성이나

영업 이익을 담보하지 않고

PBR을 보더라도 어차피 다른 지표들을 

전부 봐야 하기 때문에 알고만 있는 지표 입니다

ROE

다음은 ROE 입니다.

ROE란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을 활용해서 수익을 잘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입니다.

 

ROE가 높다는 뜻은 자산을 잘 활용하고 있다

ROE가 낮다는 뜻은 그 반대입니다.

 

그러나 ROE와 항상 함께 봐야 할 지표는 

부채 비율 지표 D/E Ratio, Debt to Equity Ratio

입니다.

 

부채비율은 기업이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ROE는 부채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채비율지표와

꼭 반드시 같이 봐야 합니다.

 

1) PER과 PBR은 기업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함.

2) ROE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
3) 부채비율 재무 건전성을 확인하는 데 필수적.

 

아래는 팔란티어와 아이온큐의 투자 지표를

챗 GPT에게 필요한 부분만 정리를 요청하여

비교 사진으로 제공드립니다.

 

 

기본적인 지표들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DPS, PSR, EV 지표들에 대해서 

알아볼텐데, 특히 DPS 지표는 배당 관련 지표로써

배당주와 관련하여 같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